편집을 하다가 모자이크로 가리고 싶은 부분이 있기 마련입니다. 전 제 얼굴을 가리고 싶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원하는 구간만큼 자릅니다. 잘 보이게 하기위해 Loop Region을 해놓았습니다. 컨트롤 + 쉬프트 + r 버튼을 눌러 미디어 트랙을 추가해줍니다. 그리고 모자이크 넣고자 하는 트랙을 클릭후 u를 눌러줍니다. 그렇다면 오디오 트랙과 묶여있던 미디어 트랙이 분리됩니다. 오디오 트랙과 나뉘어진 미디어 트랙을 마우스로 선택한 후 컨트롤 + c를 눌러서 복사해줍니다. 그리고 새로 생성한 빈 트랙을 마우스 클릭해서 선택한 후 컨트롤 + v를 눌러서 복사해줍니다. 이때 영상 시작시간은 동일한게 좋습니다. 새로 추가한 미디어 트랙의 Pan/Crop 버튼을 선택합니다. 비디오 이벤트 FX 창이 떳습니다. 이제..
제가 작업할 영상인 "odyssey3" 입니다. 프레임과 Color space 부분을 확인가능합니다. 최대 60프레임이고 컬러 스페이스는 YUV입니다. 베가스에서 작업할 영상을 불러와서 편집 설정을 영상에 맞게 떨어지게 할려면 어떡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영상을 기본으로 불러온 화면입니다. 여기서 "alt + enter"을 누릅니다. "alt + enter"은 Project Properties의 단축키입니다. 화살표에 가르키고있는 "Match Media Video Setting"을 누릅니다. 작업하고있는 원본 영상을 선택합니다. 왼쪽이 전이고 오른쪽이 후입니다. XSplit으로 녹화할 시 Const로 녹화설정이 기본으로 되어있지만 항상 60f이 나오는것은 아닙니다. 최소 프레임이 떨어지기도 하죠. 이..
이 영상이 완성본 인데요, 물론 피나는 노가다가 있었습니다.. ㅋㅋㅋ 역시나 자막넣는게 제일 노가다 네요. 저~ 번에 파워디렉터 쓸때 쥬라기공원 더게임 10분영상당 3일씩 걸렸는데..그땐 너무 노가다라 정말 싫었어요. ㅠㅠㅠㅠㅠ 솔직히 눈에 띄는 베가스 기능은 없습니다. 단지 페이드인 아웃을 좀 많이 넣었을 뿐이죠. 단지 기능이 있다면.. 바로 장면정환할때 쓰는 3D 기법? 아니 잠깐.. 이걸 3D라고 해야되나.. 솔직히 그냥 끌어다 넣은 거 밖에 없어서.. 나중엔 좀 당황했어요.영상 두개 겹칠때 마다 저 기능이 멋대로 들어가서이거 어떻게 없애지? 했다가 그냥 저걸 넣고 작업했습니다 ㅋㅋㅋㅋ 어쨌든 반응은 좋으니 좋네요 ㅎㅎ근데 대BJ는 정말 아닙니다. 혹시나 오해 하실까봐..
211,410원!해외 결제니까 .. 최대 23만원 근처러 잡아볼 수 이겠네요. 울펜슈타인은 예전부터 해보고 싶었는데 50% 세일이여서 샀습니다. ㅎㅎㅎㅎㅎ 월래 사용하고 있던 제품은 이거였습니다.처음 영상 편집 프로그램 사용 해볼때는 사이버링크 만한게 없는 것 같습니다.가격도 손떨릴 정도로 비싼편이 아니고,한글이고[!!!],유튜브에 교육용 영상도 한글[!!!] 뭐.. 으쨌든.. 좋은데... 엄청 비싸네..ㅋㅋㅋㅋㅋㅋㅋ학생이다 보니까 영상편집에 공을 못들인게 사실이었습니다.그런데 이번에 베가스를 산만큼 제대로 배워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