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평소 CPU 만큼은 순정으로 사용하는 걸 즐기는 유저입니다. 하지만 Threadripper 특유의 기본전압으로 인해 CPU 온도가 급상승 후 급하락 하는일이 반복하여 화딱지나서 언더볼팅 테스트를 해볼려고 합니다.
특이사항으론 첫 시작은 1.33125V로 언더볼팅 되있는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마더보드는 ASUS PRIME X399-A이며 BIOS 버전은 1002 버전입니다. 램은 3200-16-18-18-36-1.285V로 오버클럭 되어있습니다.
언더볼팅은 다른 BIOS 설정은 건드리지 않고 CPU 전압만 건드립니다.
팬 속도는 커스텀으로 70도가 안넘을 경우 20 ~ 70%(균일하게 증가) 입니다. 70도가 넘을경우 팬 속도는 100%로 돌게됩니다.
테스트 당시 주변환경 온도는 30도 & 다습한 여름환경입니다.
간단하게 R15 1회 통과하였을 때 최대온도를 기재하겠습니다.
전압 | R15 점수 | 최대온도 |
1.33125 | 1429 | 68 |
1.32500 | 1444 | 68 |
1.31250 | 1444 | 68 |
1.29375 | 1522 | 68 |
1.27500 | 1573 | 68 |
1.26250 | 1607 | 68 |
1.25000 | 1641 | 68 |
1.23750 | 1643 | 68 |
1.21875 | 실패 | |
1.22500 | 프리징 | |
1.23125 | 1667 | 68 |
순정상태 (1.373 ~ 1.439V) | 1601 | 68 |
결과는 꾀나 흥미롭습니다. 처음에는 전압을 2 단계씩 낮출 생각이었지만 너무 잘 들어가고 점수가 차차 올라가서 3단계씩 낮췄습니다. R15 1회 구동에 성공할수록 뭔가 불안해서 2단계식 낮추다가 실패하였을 때 1단계식 올려서 R15 1회 구동에 성공하는 전압값을 찾았습니다.
어이없는게 뭐냐면 최대온도는 모두 같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압을 낮출수록 R15 점수가 올라갔고 아이들 상태 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줄어들었습니다. 순정상태보다 언더볼팅 상태일때 더 안정적이었고 최저온도까지 빨리 도달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1900X를 사용하면서 가장 짜증났던게 인터넷 서핑 할때도 갑자기 혼자 온도가 급상승했다가 빠르게 줄어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 당연히 팬 속도도 올라갔다가 떨어집니다. 팬 속도가 올라가면 아무래도 소음이 급 상승하기 때문에 저에겐 상당히 스트레스였습니다.
언더볼팅을 했을 시 전압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순정상태일 때 전압이 불안정하게 튀어서 온도가 급상승하는 경우를 보기 힘들다는게(아직 확신하진 못하겠음) 좋은 것 같습니다.
보통 전압이 높게 들어가고 적정온도를 지켰을 시 점수가 더 높게 나와야 정상이라고 생각했는데 위 결과를 보니까 상당히 의외네요. 역시 컴퓨터의 세계는 알다가도 모르겠습니다.
'컴퓨터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anteks EVOLV X 듀얼시스템 맞출 시 CPU 쿨러와 그래픽카드 한계는? (0) | 2019.08.09 |
---|---|
지름신고💝 DARK ROCK PRO TR4, 녹투아 똥팬 (0) | 2019.07.31 |
마더보드가 왔긴 한데.. hp oem이라 규격이 다 다르네요 (0) | 2019.07.05 |
hp elitedesk mini 705 g4 마더보드를 구했습니다만 (0) | 2019.07.04 |
채굴 그래픽카드 인식 불가 고치는 법 (0) | 2019.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