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앤글입니다. 군대제대하고 와서 3학년부터 다시 전공(생명공학)공부를 할려고 하니 굉장히 어렵더라구요. '군대에서 뭐했냐!'라고 하실 수 있겠지만.. 저는 군생활 굉장히 바빴어요ㅋㅋㅋ. 어쨌든 생화학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서 부족하지만 글을 남겨봅니다.
1. 원자와 분자
생물을 배우는 사람에게는 원자와 분자 개념은 필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저는 고등학교때 화학을 하나도 몰랐어요. 대학교와서 시작한 셈이죠. 그 때문에 더 힘들었답니다 ㅠㅠ.
1.1. 유기화합물 (Organic compounds)
지식백과에 나와있는 간단한 설명입니다. 요즘에는 플라스틱같은 유기화합물도 공장에서 간단히 찍어내어서 큰 의미는 없어졌습니다.
■ 무기화합물: 광물에서 유래하는 화합물
■ 유기화합물: 생물에서 유래 → 옛날에는 인공적으로 합성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현재는 아니다.
탄소 함유 화합물 (탄소화합물)
사실 저 두 부류를 구분하는 기준이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과학이 발전하면서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가능해졌기 때문이죠. 굳이 외울필요는 없답니다. 생화학에서는 무기화합물보단 유기화합물을 훨씬 더 많이 접할 겁니다. 그냥 '아~ 이런게 있구나.'하고 넘기면 됩니다.
|
유기화합물 |
무기화합물 |
연소성 |
연소되기 쉽다 ( |
연소되기 어려운 것이 많다 |
성분 원소 |
단순하다 (주로 |
103종 모든 종류의 원소 |
화합물 종류 |
대단히 많다 ( 약 200만종) |
비교적 적다 (10만종) |
용해도(극성) |
대개 물에 잘 안녹는다, 유기용매 용해 (대개 비극성의 경향이 있다) |
대개 수용성이다, 유기용매 불용 (대개 극성이다) |
화학결합 |
주로 공유결합 화합물이다 |
주로 이온결합 화합물이다 |
1.2. 유기화합물의 분류
앞서 표에서 얘기했듯이 유기화합물의 종류는 대단히 많습니다. 종류가 엄청 많으니 그나마 보기 좋게 나누었답니다.
1.2.1. 탄소의 결합 방식
1.2.2. 작용기 (Functional group)
■ 작용기: 화학반응의 근원이 되는 원자단, 여러 화합물에 공통적으로 분포
즉, 그 화합물의 성질을 결정하는 것이 작용기(Functional group)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밑에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이런 화합물은
인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고 있죠.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들은 물에 잘 녹는다던가 다른 화합물이랑 결합이 잘 된다던가 그런 특성이 있습니다. "이걸 다 외워야하나?" 하고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자주 보일꺼고 그때마다 찾아보면 됩니다. "아~ 맞다 이런거였지?"하고 언젠간 외워질테니까요.
그럼 밑에서 여러가지 작용기(Functional group)을 보겠습니다.
1.3. 원자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