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0. 로그인 하기

기본 아이디는 root

기본 비밀번호는 1234


1. ]#ls   # 목록 출력

 (1)]#ls  # 현재 목록 출력

 (2)]#ls -a  # 현재 숨겨진 목록까지 출력

 (3)]#ls -l  # 현재 상세한 정보 출력

 (4)]#ls -al  # 상세한 숨겨진 목록까지 출력

 허가권 | 링크숫자 | 소유주 | 소유그룹 | 생성일 | 크기  이름

 (차례대로 설명)

 *파일에 대한 접근 허가권

 허가권에서 맨 좌측은 구분을 나타내는데,

dr 은 디렉토리;

-은 파일임

 **디렉토리는 그안에 있는 파일숫자

 ***소속된 그룹을 말함

 ****리눅스는 소속된 그룹별로 구분한다

 *****말 그대로 생성일

 ******말 그대로 크기

 *******말 그대로 이름


2. ]#touch # 임의의 파일 생성

 (1) ]#touch a.txt


3. ]#cp  # 카피

 (1)]#cp a.txt b.txt

 (2)]#cp a.txt z.txt


4. ]#mv  # 잘라내기/이름바꾸기

 (1)]#mv b.txt b1.txt


5. ]#rm  # 파일삭제

 (1) ]#rm a.txt

 (2) ]#rm -f b1.txt  # 동의 안물어보고 바로 삭제


6. ]#mkdir  # 디렉토리 생성

 (1-1) ]#mkdir abc1

 (1-2) ]#mkdir abc2


7. ]#cd  #디렉토리간 이동

 (1-1) ]#cd abc1

 (1-2) ]#touch aa.txt

 (1-3) ]#cd ..  #상위 디렉토리로의 이동


8. ]#rmdir  # 디렉토리 삭제

 (1-1) ]#rmdir abc2  #요건 될거임

 (1-2) ]#rmdir abc1  #내부파일 존재해서 안될거임

 (1-3) ]#rm -rf abc1  #강제 삭제하면 가능하다


9. ]#cat  # 리다이렉션(> or <) 기호

 (0)]#ls /etc  # 이거치면 엄청나게 많은 파일이 나오는데 이중에 파일을 카피해보겠다.

 (1) ]#cp /etc/passwd passwd.txt  # 만약 passwd 파일이 있고 이걸 가져왔을 때

 (2) ]#cat < passwd.txt  # 안에 있는 내용물 출력

 (3) ]#cat > passwd.txt  # 파일에 내용 입력

 

10. ]#pwd  # '절대경로'로 현재의 위치 출력


11. 디렉토리의 특성 및 경로이동 실습

 (0) ]#ls /  #리눅스에선 '/'가 최상위 디렉토리이다. root 를 표현함.

 (1) ]#/root  #root 계정의 홈 디렉토리

 (2) ]#/home  #일반 계정의 홈 디렉토리(처음 접속되는 장소; 여기서만 놀 수 있다)

 (3) ]#/usr  #프로그램 파일의 디렉토리(프로그램 설치되는 곳)

 (4) ]#/var  #log가 기록되는 디렉토리(어떤 사람이 접속해서 뭘 했는지 기록되는 장소)

 (5) ]#/etc  #환경설정 파일 디렉토리(계정, 네트워크, 패스워드 등등 리눅스의 환경적인 것들)

 (6) ]#/bin  #리눅스 명령어가 들어있는 디렉토리

 (7) ]#/sbin  #리눅스 명렁어가 들어있는 디렉토리 (왜 나눴을까..?)

 (8) ]#/mnt  #마운트(mount) 디렉토리 (마운트란 예를 들어서 USB를 꽂았을 때 윈도우즈에서 USB를 인식하는 행위 같은 것을 마운트라고 말함. 즉, 어떠한 장비를 활성화 될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렉토리)

 (9) ]#/dev  #장치파일

 (10) ]#/boot  #부팅관련



12. 허가권 변경

*허가권 이란? ]#ls -al 을 줬을 때 가장 옆에 나오는 것이다.

 r : 읽기권한

 w : 쓰기 권한

 x : 실행권한

로 간단히 알 수 있다.

]#ls -al 을 했을 때

-rw-r--r--

이렇게 나오는데

-/rw-/r--/r--

이런 식으로 나뉠 수 있다.

-

종류에 대한 것이다.

디렉토리면 d가 먼저 온다.

rw-

소유주에 대한 허가권이다.

현재 읽기 r(ead) 와 쓰기 w(rite)가 가능하다

r--

소유그룹에 대한 것이다

현재 읽기만 가능하다는 뜻. r(ead)

r--

타인에 대한 것이다.

현재 읽기만 가능하다는 뜻. r(ead)


r :읽기 #4 라고 인식

w : 쓰기 #2 라고 인식

x : 실행 #1 라고 인식


물론 변경할 수도 있다!

]#chmod 777 ab.txt  #7은 r w x 모두 더한 값으로, 허가권을 변경하는 것이다.

-> -rwxrwxrwx


-rw-r-xr--  -> 654

----------  -> 000   #사실 0으로 했더라도 소유주는 적용되지 않는다. 

-rw-r--r--   -> 644



13. 작업창

리눅스에선 6개의 작업공간으로 구분한다. Ctrl + Alt + F2 를 눌러보자. 그럼 두 번째 창이 나온다. 다시 로그인을 해야되는 상황이 된다. 이 상태에서 Ctrl + Alt + F1 을 눌러보자. 그럼 작업하던 환경으로 다시 돌아온다. 마찬가지로 6개 라고 했으니 F6 까지 변경할 수 있다.

참고로 작업창 로그오프는 ]$exit (enter)


14. 계정생성

맨 처음에 root로 로그인 했을 것이다. root 는 "슈퍼유저" 라는 의미이다. 이제 일반 계정을 만들어 보자.

(1) ]#useradd test1  #test1 이라는 아이디로 새로운 계정을 만든다는 의미.

]#passwd test1  #패스워드를 적으라고 하는데 기억할 수 있는 걸로 하자.

그렇게 새로운 작업창 (Ctrl + Alt + F1~6)을 띄워서 로그인 하면 프롬프트가 #이 아니라 $가 되있다.

물론 기본적인 작업은 할 수 있지만

]$useradd test2 같은 새로운 계정을 만드는 작업처럼 중요한 작업은 할 수 없다.


]#cd /home  #만든 계정들을 home 위치를 기본 위치로 만든다.

]#cat /etc/passwd  #test1 과 test2를 앞서 만들었는데 패스워드가 실제로 만들어졌는지 확인 할 수 있다.


15. 허가권

root 계정으로 파일을 만들면 일반 계정으론 삭제, 쓰기 할 수 없다.

프롬프트가 ]# 으로 되어있는 루트 계정은 삭제, 쓰기 그외 등등 작업을 할 수 있지만, 프롬프트가 ]$ 으로 되어있는 일반 계정들은 중요한 작업을 할 수 없다.


16. 번외

(1) ]#du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보여줌; 바이트 단위로 보여주기 때문에 체감이 안오는데, -h -m -k -s 를 중간에 끼울 수 있다.

(2) ]#df  #파티션 사용량을 보여줌 

(3) ]#free -h  #메모리 사용량을 보여줌

댓글